나는 왜 비전공자인데 개발을 배우게 되었을까

창업을 꿈꾸던 한 사람의 현실적인 선택

어릴 적 꿈은 창업이었다.

한창 핸드폰이 대세이던 시절, ‘내가 삼성이나 LG 같은 회사를 만들겠다’는 철없지만 진심이었던 꿈을 꿨다.

하지만 현실은 늘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냉정하다.

내 능력이 생각보다 대단하지 않다는 걸 알게 되었고, 현실에 순응하며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그러던 어느 날, 회사에 다닌 지 4년쯤 되었을 무렵 문득 생각이 들었다.

“이대로 살아도 괜찮을까?”

계획 없는 퇴사, 그리고 막막함

2019년 연말, 결국 퇴사를 결심했다.

하지만 준비된 퇴사는 아니었다.

계획도 없었고, 자신감도 없었다.

지금 가진 능력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 같았다.

그래서 고민했다.

무엇을 배워야 앞으로 내가 원하는 길을 걸을 수 있을까?

왜 하필 개발이었을까

나는 스타트업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웹이나 앱 서비스에 매력을 느꼈다.

창업을 하고 싶었고, 그걸 직접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었다.

‘CEO가 되더라도 기술적인 이해는 필수’라는 생각이 들었다.

애플의 공동창업자 스티브 워즈니악이 “스티브 잡스는 기술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고 말한 걸 보고 더 확신이 생겼다.

현실적인 이유도 있었다

만약 창업에 실패한다면 다시 취업해야 했다.

그때가 2020년, 개발자 몸값이 최고치를 찍고 있던 시절이었다.

‘네카라쿠배’라는 말이 회자되며, 개발자는 취업 시장에서 가장 핫한 직군으로 떠올랐다.

그래서 생각했다.

“개발을 배우면, 창업에 실패해도 먹고 사는 데는 문제 없겠다.”

그리고 무엇보다…

혼자서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끌렸다.

스타트업처럼 팀원이 없어도, 내가 원하는 서비스를 내가 직접 만들 수 있다는 것.

그건 너무나 강력한 무기였다.

개발, 그 짜릿한 시작

처음엔 어렵고 막막했지만, 생각보다 재밌었다.

내가 상상한 아이디어를 직접 구현하고, 작동하게 만드는 일은 처음 겪는 짜릿함이었다.

그때부터 6개월 동안 아침 8시부터 밤 10시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공부했다.

그리고 결국, 첫 개발자 회사에 취업할 수 있었다.

(왜 창업은 안 했냐고요? 현실은 늘 예상보다 빨리 찾아오니까요. 사실, 돈이 다 떨어졌습니다. 😅)

돌아보면, 잘한 선택이었다

돌아보면, 개발을 배우기로 한 건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

  • 창업을 위해
  • 실패에 대비한 현실적 생존을 위해
  • 내가 만들고 싶은 걸 직접 만들기 위해

이 모든 이유가 나를 움직이게 했고, 그 덕분에 지금도 내 길을 만들어가고 있다.

크게 만들지 않아도 좋다.

내가 원하는 걸, 내가 직접 만들 수 있다는 자유.

그것이 내가 지금 이 길 위에 서 있는 이유다.

Read more

바이브 코딩 시대에 개발 공부를 계속해야 하는 이유

바이브 코딩 시대에 개발 공부를 계속해야 하는 이유

요즘은 ‘바이브 코딩’이라는 말이 어디서나 들릴 정도로 유명해졌다. AI가 등장하면서 코드를 한 줄도 치지 않고도 웹이나 앱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가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AI를 활용하기 전부터 코드를 짜왔던 개발자로서, 여전히 개발 공부를 멈추지 않고 있다. AI 개발 도구는 개발자의 파트너다 AI 활용 개발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주간 성구] 2025년 31주 차 회고

[주간 성구] 2025년 31주 차 회고

2025년 7월 28일 ~ 2025년 8월 3일 회고 7월 한 달도 빠르게 지나가고 8월이 되었다. 1월 세웠던 계획에 느리지만 천천히 다가가고 있다. 7개월 동안 꾸준히 해온 나 자신이 뿌듯하기도 하면서도, 눈에 보이는 성과가 없어서 조급함도 들기도 한다. 열심히만 하지말고, 잘하는 다짐을 한 번더 하게되었다. 서론이 길었지만 31주 차 주간 성구도 시작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