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해커로 혼자서도 가능한 글로벌 SaaS 기술 스택

월 3만원으로 글로벌 SaaS 시작하기

인디해커로 혼자서도 가능한 글로벌 SaaS 기술 스택

안녕하세요. 성구의 인디웨이, 성구입니다.

저번 뉴스레터에서는 2025년 인디해커로 살아남기라는 주제로 올해의 다짐을 공유했는데, 많은 분들이 공감과 응원을 보내주셔서 큰 힘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제가 실제로 사용하는 Global Micro SaaS 기술 스택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혼자 SaaS를 시작할 때 가장 막막했던 질문

처음 혼자 SaaS를 만들어보려 했을 때, "어떤 기술을 선택해야 할까?"라는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스타트업에서 일할 때는 Next.js로 프론트엔드를, Nest.js로 백엔드를 개발했던 경험이 있었지만, 혼자 모든 걸 감당하려니 개발 외에도 신경 써야 할 일이 너무 많았습니다.

서버 설정, 배포 파이프라인 구축, 인증 기능 구현, 오류 로그 관리, 데이터베이스 백업 등… 기능을 추가하는 것보다 이런 인프라를 먼저 해결하는 일이 더 시급했죠.

그래서 제 목표는 단순해졌습니다.

“최소한의 노력과 비용으로 프로덕트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선보일 수 있는 기술 스택을 갖추자.”

완벽한 코드보다 중요한 건 동작하는 프로덕트,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경험, 그리고 운영 가능성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왜 이 스택을 선택했을까

스타트업 개발자에서 인디해커로

스타트업에서는 확장성과 레거시 문제를 자주 고려합니다. 하지만 인디해커로서는 초기 사용자 몇 명이라도 만족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빠르게 출시해 피드백을 받는 것이 훨씬 중요했습니다.

또한 스타트업은 팀이 있어 일이 분담되지만, 인디해커는 모든 것이 혼자에게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무엇보다 “관리해야 할 것”을 줄이는 기술 구성이 필요했습니다.

핵심 기능에만 집중하는 전략

저는 핵심 기능에만 집중하고, 나머지는 검증된 서비스에 맡기자는 전략을 택했습니다.

인증, 결제, 배포, 모니터링 등은 이미 좋은 도구가 있으니 그걸 활용하고, 저는 사용자 경험, UI, 아이디어 검증 쪽에 집중하는 것이죠.

이 방법은 실제로 효과가 컸습니다.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사용자 반응을 본 뒤 유지할지 버릴지 결정할 수 있었습니다. 지금의 기술 스택이 이런 반복을 가능하게 해줬습니다.

지금 사용하는 기술 스택

  • 웹 기본과 언어: HTML, CSS, JavaScript, TypeScript
  • 프레임워크: Next.js
  • UI/스타일: Shadcn/ui, Tailwind CSS
  • 인증: Clerk
  • 백엔드: Convex (DB, 서버 함수, Cron, 스토리지)
  • 결제: Polar
  • 운영: OpenPanel, Sentry
  • 배포: GitHub, Vercel

이 조합으로 인디로그(IndieLog), 북로그(BookLog), 프로덕트로그(ProductLog) 같은 SaaS를 개발 및 운영하고있으며, 개발 → 테스트 → 배포까지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웹 기본과 언어 - 기본기를 단단하게

  • HTML, CSS, JavaScript: 웹 서비스의 뼈대입니다. UI 구조, 디자인, 동작 모두 이 위에 올라갑니다. 기본기가 탄탄해야 이후 기술을 적용할 때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 TypeScript: JavaScript의 흔한 버그(타입 혼동, 런타임 오류)를 컴파일 단계에서 잡아 주기 때문에 안정성을 높여 줍니다.

프레임워크와 디자인 - 빠르고 깔끔하게

  • Next.js: SEO에 강하고, 이미지 최적화, 라우팅 자동화 등 내장 기능이 풍부해 개발 시간을 줄여 줍니다. 커뮤니티도 크고 자료도 많아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됩니다.
  • Shadcn/ui + Tailwind CSS: 디자이너가 아니어도 깔끔한 UI를 만들 수 있습니다. Tailwind는 CSS 관리가 단순해지고, Shadcn/ui는 버튼, 모달, 사이드바 같은 컴포넌트를 바로 활용할 수 있어 개발 속도가 빨라집니다.

덕분에 디자인 고민을 줄이고, 기능 개발과 사용자 경험 개선에 더 많은 시간을 쓸 수 있었습니다.

핵심 인프라 - 서버 없는 서버

  • Clerk: 이메일, 소셜 로그인, 세션 관리, 비밀번호 재설정 등 인증 전반을 해결해 주어 보안 리스크와 개발 부담을 크게 줄여 줍니다.
  • Convex: 실시간 DB와 서버 기능을 TypeScript 기반으로 제공해 프론트엔드와 바로 통합 가능합니다. Starter 플랜은 무료로 시작할 수 있고, 사용량 초과분만 과금(pay-as-you-go)합니다.

운영과 수익화 - 단순하지만 강력하게

  • Polar: 단순한 결제를 넘어 글로벌 판매 시 세금(VAT, GST)을 자동 처리해 줍니다. 수수료는 약 4% + $0.40건이며, 작은 SaaS라도 글로벌 판매를 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 OpenPanel: 가볍게 유저 행동 분석을 할 수 있는 도구로, 페이지뷰, 버튼 클릭 등 핵심 지표를 쉽게 수집합니다.
  • Sentry: 오류를 자동 기록, 분석해 주어 실제 사용자 버그를 빠르게 파악하고 운영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배포 - 자동화의 힘

GitHub + Vercel 조합을 사용하면 배포 과정이 거의 수동 작업이 없어집니다.

버전을 관리하고, 코드만 푸시하면 CI/CD가 돌아가고, 글로벌 CDN 배포가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처음 SaaS를 만들 때 배포 파이프라인을 세팅하는 데 하루 이상 걸리기도 했지만, 지금은 몇 시간 내로 셋업 가능합니다.

자동화 덕분에 업데이트가 쉬워지고, 버그 수정, 디자인 변경, 기능 추가 등이 빨라졌습니다.

실제 비용은 얼마나 될까

많은 분들이 SaaS 운영에는 큰 비용이 든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월 20~30달러 + 도메인 비용이면 충분히 시작할 수 있습니다.

  • Convex Starter Plan: 무료 티어 제공, 초과 시만 과금
  • Polar: MoR, 세금 처리 포함 (거래 시에만 수수료)
  • Cursor: 월 $20
  • 도메인: .xyz 기준 연 3,300원
  • AI API: 필요 시 사용량에 따라 부과

즉, 한 달 3~4만 원이면 누구나 부담 없이 글로벌 SaaS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서비스가 커지고 확장될수록 비용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럴 때는 다른 대안을 찾아봐야겠지만 그 과정에서 충분한 검증을 거칠 수 있습니다.

깨달음 - 작아도 충분하다

이 스택으로 여러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두 가지를 배웠습니다.

  1. 작은 프로덕트라도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빠르게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초기부터 복잡한 인프라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필요할 때 확장해도 늦지 않다.

작게 시작해서 점점 사용자 요구 기반으로 기능을 붙여 나가는 것, 그것이 인디해커가 살아남는 길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작게 시작해서, 글로벌하게 운영하기

거창한 계획보다 현실적인 실행이 중요합니다.

한 기능만 있더라도 사용자에게 의미 있고, 그 기능이 작동하고 배포 가능하다면 충분합니다.

사용자 반응을 보고, 작은 업데이트라도 매주 배포하면, 그 자체가 학습이며 성장힙니다.

프로덕트로그 - 운영을 쉽게 하는 도구

이런 고민 끝에 이번 주에 프로덕트로그(ProductLog)를 베타 출시했습니다.

인디해커를 위한 프로덕트 관리 SaaS로, 프로덕트 출시 후 필요한 문서 관리, 체인지로그, 피드백 수집, 사용자 문의 대응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현재 베타를 공개했으며, 앞으로도 인디해커가 반복적으로 겪는 운영 문제를 최소한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프로덕트 사용해보기]

인디해커랩 웹 개발 부트캠프 - 함께 만들어 봅시다

인디해커랩 웹 개발 부트캠프를 엽니다.

4주 동안 이 기술 스택을 기반으로 실제 웹 서비스를 기획·개발·배포·운영까지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주 1회 온라인 강의와 실습 중심으로, 비개발자도 따라올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나만의 웹 서비스”를 직접 만들어 보고 싶은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부트캠프 신청하기]

마무리

이번 글에서는 제가 실제로 사용하는 기술 스택과 전략을 공유했습니다. 혹시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신다면, 이 글이 실행에 옮기는 작은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 프로덕트로그: https://productlog.xyz/

⛺️ 부트캠프: https://www.indiehackerlab.com/bootcamp

📩 뉴스레터: https://story.seonggoos.com/tag/newsletter/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seonggoos

✚ 성구의 인디웨이: https://seonggoos.com/